한국 프로야구 역대 관중수 그래프(이중축, 혼합형) (1982 ~ 2012) - 추억의 야구여행
10월, 야구가 한창입니다.
사실 전 야구 팬이 아니라... 아니 언제부턴가 야구보다 해외축구를 많이 보다보니 요즘 야구가 어케 돌아가는지 잘 모릅니다 ㅋ;;;
그 언젠가... 제가 중학교때 해태 선동열, 한대화, 이종범 팬이었으니까 그리고 그때 보고 거의 안봤으니까 참 오래도 됬네요. 위 그래프로 보면 1994년도? ~ 1995년도니가 제 1의 전성기때군요. 선동열의 두려움에 떨고 한대화의 장포, 이종범의 천재적 플레이로 해태가 주름을 잡던 그 시절.... 그때가 최고 전성기였나 봅니다 ^^
한국 프로 야구 최고 전성기 1995년
그때 당시가 이렇게 표현되어 있네요.
프로 야구 역사상 최초로 총 관중 500만명을 돌파, 한국 야구의 전성기였다.
|
한국 프로 야구 침체기 1998년
그 뒤로 고등학교에 올라가고 공부하려 야자하랴 야구도 못보고 저의 관심사와 같이 야구 관중수도 줄어가는군요. 내리막 막장을 찍는 1998년도 는 이렇게 표현하고 있네요.
1998년 한국프로야구계 역시 IMF 구제금융 사태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.
http://bittalk.org/threads/105196/
|
역시 IMF가 야구에도..... 1998년도면 제가 서울 종로학원에서 제수를;;; 할 시절이라 뭐 세상과 단절되어 전혀 모르는 내용들이군요 ㅋ
한국 프로야구 도약기 2007년
그러다가 2007년도 부터 다시 관중수 그래프가 올라가기 시작합니다.
한 시즌 누적 총 관중이 400만을 다시 돌파하였다.
|
현대 유니콘스가 이때 해체되었었군요. 조사해보니 이듬해 "우리 히어로즈"로 재창단되었다고 나오네요.
(이후에 지금의 넥센 ㅋ)
이때는 이미 야구를 안보던 때라 참... 생소하네요;;; 그 이후 그래프를 보면 한국 야구는 탄탄대로입니다.
"2003년 이승엽 홈런 56개 아시아 신기록 달성"
"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"
이때 대학교 식당에서 우르르 몰려서 볼 하나 하나 참 열심히 보고 소리지르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ㅋ 밥이 코로들어가는지 입으로 들어가는지.
현재는 우리나라 대표 프로 스포츠로 자리 잡아 최희 아나운서, 홍수아, 클라라 시구에 이르기까지 이슈를 만들어 가며 안정적인 문화로 이어져가고 있습니다. 또한, 류현진, 추신수 등 세계 최고의 기량을 가진 선수들을 배출하며 세계적인 역량을 가진 한국 스포츠가 되었습니다.
* 블로그 핫 이슈 * |
- 매년 10만원 현금 주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==> http://ranky.tistory.com/92
- 성공적으로 창업 하기 ==> http://ranky.tistory.com/99
- 초보 블로거 중요 사이트 모음 ==> http://ranky.tistory.com/45
- 쇼핑몰 쿠폰 정보. 하나라도 싸게하세요 ==> http://moneys.tistory.com/2
- 최신 스마트폰 비교 분석 (넥서스 5 포함) ==> http://ranky.tistory.com/117
|
'진격의 그라프 > 스포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레이턴 커쇼 기록 차트 - LA다저스 메이저리그 최고 투수(6차전 선발) (1) | 2013.10.18 |
---|---|
류현진 기록 차트 - 내셔널리그 챔피언십시리즈에서 첫 승!! 류현진 하이라이트 (0) | 2013.10.15 |
추신수 기록 차트 20-20-100-100(홈런-도루-득점-볼넷) 달성!! (0) | 2013.09.24 |
임창용 기록 차트 - 메이저리그 데뷔 기념 (0) | 2013.09.10 |
해외 축구 역대 이적료 TOP 10 그래프 - 가레스베일 이적 기념(입단식 동영상) (0) | 2013.09.02 |